
원종건 사건으로 인해 최근 재조명된 '가스라이팅'이란? 가스라이팅이란? 1944년 영화 '가스등 (Gaslight)'에서 처음 유래되었다. 이 영화에서 등장하는 두 주인공부부의 이야기가 중심이 되는데 영화속 아내 (폴라)가 음악가남편 (그레고리)에게 정신적인 학대를 받고, 학대가 깊어질수록 그 속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럼 여기서 말하는 정신적인 학대는? 실제로 때리거나 하는 물리적인 폭력을 가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정서적으로 사람을 굴복시키게 만들고, 결론적으로 한사람을 파멸시키는 무서운 정서적 학대를 말한다. 영화속 폴라는 음악가 남편인 그레고리와 결혼후, 이상한 일을 자주겪게 된다. 그녀는 사소한 물건을 자꾸 잃어버리기 시작했고 그로인해 심리적으로 매우 불안한 날들이 이어질 그 무렵 ..

2005년 MBC프로그램 '눈을떠요'에서 감동실화로 시청자들을 사로잡았던 종건이. 복합장애를 가지고있는 어머니와 단둘이서 살던 종건이는 열악한 가정환경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와 함께 꿋꿋하게 살아가는 효자 아들로 소개되며 메스컴에 등장했었다. 방송출연 당시 종건이의 아버지는 이미 돌아가셔서 안계셨고, 몸이 아픈 여동생은 넉넉치 못한 환경탓에 어쩔수 없이 입양을 갔으며, 종건이의 어머니는 시각장애인이었지만 다른경제 활동을 할수 없었던 상황탓에 폐지를 주으며 겨우겨우 생계를 이어가고 있던 찰나였다. 보통의 그 나이또래의 아이들이었다면 넉넉치 못한 가정환경에 주눅들만도 했겠지만, 13살의 남자아이는 누구보다 장애인 어머니를 생각하는 효자아들로 소개되며, 시청자들의 눈시울을 적셨다. 종건이의 어머니는 '눈을떠요'..

어릴적부터 유독 입술이 건조하고 자주트고 피가나며, 지긋지긋하게 입술포진까지 달고있던 나는, 최근에 티트로신 겔이라는 연고를 약국에서 추천받아 사용해보았다. 일단약사님은 화상에도 바르는 연고라, 입술에 나는 입술포진 정도는 가볍게 나을거라며 추천해 주셨는데 일단 바르고 나서 하루이틀안에 가라앉았고, 그밖의 습진에도 효과를 보여서 오늘은 블로그에 포스팅해보고자 한다. 일단 구입당시 5,000원에 구입하였다. 연고의 머리통부분을 빼고 몸통부분은 일반신용카드의 가로길이만하다. 5,000원치고는 연고의 크기가 작은 느낌이다.ㅜㅜㅜㅜ 일단 티트로신 겔의사용법은 감염된 부위에 하루 2~3회 적당량을 바른다. 가벼운 상처나점막 부위의 감염에는 드레싱이 필요하지 않다. 광범위한 질환 부위 및 심한 삼출성 상처에는 드레..

몇년 전, 알레르기 비염으로 인해 대학병원치료까지 받은 나는, 각종 약을 한번씩을 처방받아서 비염치료를 해보았다. 항상 달고 살았던 비염이라 사소하게 생각했던 코감기증상과, 비염증상은 결국 성대에 큰 혹까지 생기게 만들었고, 혹은 6개월간의 대학병원 치료로 이제 깨끗하게 없어졌지만. 그 후로도 혹이 재발할까봐서 비염치료를 꾸준히 하고있다. 아래 성대폴립 치료후기 참조!! (1) https://happy-secret0124.tistory.com/12 [성대폴립치료후기]- 수술없이 성대폴립을 치료한 7개월간의 투병후기.(1) 2017년도 12월. 회사에서 망년회대신 연말에 다같이 모여 뮤지컬을 보러가던 그 무렵. 그러니까 딱 1년전쯤이다. 갑자기 목이 아프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목이 건조한 느낌만 있었는데,..

얼마전 세상을 떠들석 하게 만든 사건이있다. 유명앵커가 지하철에서 몰카를 찍다가 걸린 사건인데, 안그래도 몰카범죄가 나날이 급증하며 피해자의 고통은 나날이 심해지고 있는 현대에, 몰카범죄의 가해자가 유명앵커의 아나운서라는 사실은 모두를 경악하게 만들었다. 그 어렵다던 언론고시의 합격자이자, SBS의 간판아나운서였던 그는 이 사건으로 인하여 오랫동안 근무해왔던 직장에서도 사직하게 되며, 한순간의 실수로 몰카범죄자로 낙인찍히게 되었다. 그리고 더 충격적인것은, 1년전 [김성준의 시사전망대]라는 프로그램에서 몰카범죄에 대해 다룬적이 있었는데, 그때의 김성준 아나운서의 발언이 그가 몰카범죄자가 된후에 다시한번 재조명 되었다. -김성준/ 진행자: (몰카사건의 피해자에 대한 이야기중) 평생 멍에가 되서 살아야 하는..

나이를 먹고나서야 알았다. 모든 인간관계는 어느정도의 선을 유지해야한다는 것을. 이사람에게는 이정도의 선을 유지하고 저사람에게는 저정도의 선을 유지하는 것이 행복한 인간관계의 핵심이라는것을 너무 늦게 알았다. 선을 넘는 순간 고통스러워 진다는것을 이제는 확실히알게되었다. 어린시절 동네 친구들과 끊임없이 뛰어다니며 놀았던 그 시절을 생각해보면, 그 시절에는 그냥 함께 노는것만으로도 매우 행복했었다. 학창시절에도 마찬가지였다. 한참 고민많은시절에 함께 이야기를 들어주고 고민을 공유해주는것 그것만으로도 매우 행복했었다. 하지만 어느순간부터 점점 나이를 먹고, 내 삶에 주어진 온갖 책임감과 삶의 고민들을 해결하려다보니, 타인의 고통을 마치 나의 일처럼 공감할수 없게 되었다. 깊숙하게 공감하지 못하는 나의 태도에..